오늘 알아볼 심리 실험은 밀그램의 권위 복종 실험이다.
이는 유명한 실험이기에 다들 한 번씩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밀그램의 실험이 어떤 실험이며 무엇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하였고, 이 실험에 대한 비판 여론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밀그램 실험
밀그램 실험은 1961년에 예일 대학교의 심리학과 조교수인 스탠리 밀그램이 실행한 권위에 복종하는 것에 관한 실험이다.
밀그램은 권위에 복종하는 것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에 사람들이 비이성적인 권위에 굴복하는 이유는 개인의 성격보다 상황에 있다고 보았다.
그 비이성적인 권위에 설득력 있는 상황이 새기면 아무리 이성적인 사람이더라도 윤리적 가치관과 도덕적인 규칙은 배제한 채 그 권위의 명령에 따라 잔인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밀그램은 ‘징벌에 의한 학습 효과’를 실험하는 실험에 참여할 사람들을 모집했다.
그 후 피실험자들을 선생과 학생역으로 나누었다.
선생 역할과 학생 역할을 맡은 피시험자들을 각각 한 명씩 팀을 지어 실험을 시작하였다.
학생 역할을 맡은 피시험자들은 의자에 묶고 양쪽에 전기 충격 장치를 연결하였다.
그리고 선생이 학생에게 문제를 내도록 하는데 만약 그 문제를 학생이 틀리게 되면 학생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여기서 학생 역할을 맡은 피실험자들은 사실은 배우였고, 전기 충격 장치도 진짜가 아닌 가짜 장치였다.
목표
이 실험의 진짜 목표는 ‘징벌에 의한 학습 효과’가 아니라 사실은 ‘권위에 대한 복종’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과정
이 실험은 먼저 ‘징벌에 의한 학습 효과’에 대한 실험이라고 공고한 뒤 4.50달러를 대가로 주고 20대에서 50대 사이의 남자 피실험자 40명을 모집하였고 모집된 사람들을 각각 선생과 학생의 역할로 나누었다.
하지만 사실 학생 역할을 맡은 피실험자는 실제로 실험을 받는 사람이 아닌 배우였다.
실험자는 선생 역할을 맡은 피실험자들에게 학생들이 테스트받을 문제를 주었고, 학생 역할의 배우들에게는 암기할 단어를 제공했다.
그리고 선생 역할의 피실험자들에게 학생들을 시험을 보고 학생이 만약 문제를 틀릴 시, 틀릴 때마다 한 번에 15볼트의 전기 충격을 가하라고 지시하였다.
여기서 밀그램이 가장 중요시 보았던 것은 선생들이 전기 전압을 올리는 과정에서 어떤 태도를 보이는지였다.
밀그램은 대가가 겨우 4.50달러인 이 실험에서 선생들이 과연 15볼트로 시작한 전기 충격을 450볼트까지 올릴 것인지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관찰하였다.
실험자는 흰색 가운을 입은 후 전압이 올라갈수록 전압을 올릴지 말지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실험의 책임은 자기가 모두 지겠다며 전압을 올리라고 강요하였다.
이때, 선생의 역할을 맡은 피실험자들이 전압을 거부할 때면 실험자들은 미리 준비해 둔 네 가지의 대사를 피실험자들에게 말했다.
1. 계속 진행해 주십시오.
2. 실험을 위해서는 계속 진행해야만 합니다.
3. 계속 진행해 주셔야만 합니다.
4. 당신에게는 이것 외의 다른 선택지가 없습니다.
실험의 결과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밀그램은 과연 피실험자들이 4.50달러의 대가만으로 450볼트까지 전압을 올릴까 의문을 가졌었다.
따라서 밀그램은 0.1퍼센트의 사람들만이 450볼트까지 전압을 올릴 것이라 예상했다.
하지만 밀그램이 예상과는 다르게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예상했던 0.1퍼센트 수치보다 훨씬 많은 65퍼센트의 피실험자가 450볼트까지 전압을 올린 것이다.
이 실험은 1971년 짐바르도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까지 영향을 주었다.
비판
밀그램의 실험은 피실험자들에게 심리적인 충격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 전에 이를 미리 고지하지 않아서 윤리적으로 비도덕 하다는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결국 대학에서 해임하게 되었다.
이후 2006년에 밀그램의 실험과 유사한 실험이 하나 진행되었는데, 이는 실험 윤리강령을 준수한 채 진행되었다.
제리 버거가 실행한 이 실험은 70퍼센트의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밀그램의 실험이 80퍼센트 초기 대의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보면, 이러한 실험이 윤리강령을 준수하며 실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밀그램의 실험 결과는 지지할 만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적 압력을 주는 사회적 영향력이 우리에게 나타내는 점이 크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마무리
밀그램의 권위 복종 실험은 현대 사회와 심리학 연구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험 결과를 보면 인간은 상황에 따라 권위에 복종할 수 있고, 도덕적인 판단 기준은 상황에 따라 크게 변화됨을 강조했다.
밀그램의 권위 복종 실험은 인간 심리와 도덕적 문제에 대해 중요하게 고민해 봐야 할 것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던져준다.
따라서 우리는 권위적인 명령에 대해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인 생각을 통해 도덕적인 판단을 내리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실험을 주최하는 연구자들도 밀그램처럼 심리적인 고통을 수반할 수 있는 실험임에도 불구하고 고지를 안 한 것과 같은 비윤리적인 실험 방식보다는 실험을 설계하고 진행할 때 가장 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실험 참가자의 안전과 윤리적인 측면이라는 것은 엄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오늘은 밀그램의 권위 복종 실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권위에 대한 복종은 개개인의 성향이나 성격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닌 상황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무리 이성적인 사람이더라도 상황에 따라 강도 높은 잔혹한 행위도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앞으로 우리의 인생을 살아가며 이러한 권위의 요구들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심리 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퍼드 감옥 실험 (2) | 2024.11.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