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O_jsokH06wQO7Uv4dtx69fzS0A5qff8H0Lkbc3kXWKs 피그말리온 효과
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의 이해

피그말리온 효과

by manchea 2024. 11. 28.

오늘은 피그말리온 효과는 무엇이며 어떤 실험을 통해 알아내게 되었는지 보고, 이해하기 쉽도록 사례 몇 가지를 가져와 보았다.

또한 피그말리온 효과와 비슷한 성질을 나타내고 있는 다른 심리적 효과도 하나 가져와 비교할 것이다.

 

 

피그말리온 효과

 

정의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육심리학에서 심리적 행동의 하나이다.

교사의 기대 정도에 따라 학습하는 사람의 성적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는 다른 말로 교사 기대 효과, 로젠탈 효과, 실험자 효과라고도 부른다.

이와 반대로 교사가 기대하지 않는 상황에서 학습자의 성적이 떨어지는 것은 골렘 효과라고 한다.

 

개요

피그말리온 효과는 초등학교 교장 출신인 레노어 제이콥스가 실험한 것으로 무언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실제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말한다.

이 실험을 하기 이전에 로젠탈과 포드는 대학에서 한 심리 실험을 했다.

학생들에게 쥐를 이용해 미로찾기를 하도록 한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는 쥐가 미로를 잘 찾아 빠져나오는 그룹과 잘 빠져나오지 못한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이 두 그룹의 차이는 쥐에 대한 태도 차이였다.

쥐가 미로를 잘 빠져나온 그룹은 학생들이 쥐를 정성스럽게 키웠지만, 후자는 쥐를 소홀하게 키우고 잘 돌보지 않았다.

이를 통해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에서도 동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1964년 봄에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돌발성 학습 능력 예측이라는 보통의 지능 테스트를 했다. 학급의 담임선생님들에게는 앞으로 수개월 동안 성적이 오르는 학생을 찾아내기 위한 조사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조사는 아무런 의미가 없었고 당연히 성적 향상과도 무관한 조사였다.

실험 시행자는 조사의 결과와는 무관하게 무작위로 학생을 뽑아 그 명부를 담임선생님에게 전달하며 이 명부에 적힌 학생들은 수개월간 성적이 향상될 학생들이라고 전달하였다.

조사 결과를 들은 후 학급의 담임 선생님들은 그 아이들의 성적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다.

선생님들이 기대를 품은 결과 그 학생들은 실제로 성적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학생들 또한 선생님들이 본인에게 하는 기대를 의식하여 생긴 결과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유래

피그말리온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 속의 피그말리온에서 따왔다.

피그말리온은 한 여성상을 조각하였는데 자신이 조각한 여성상에 진심으로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이를 본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는 그의 소원을 들어주어 여성 조각상을 실제 인간으로 만들어주었다.

 

비판

로버트 로젠탈의 이 실험은 여러 비판이 존재한다.

이 실험에 참가한 교직원들은 명부는 대충 훑어보기만 하였으며 그 명부 속 기재된 아이들이 누구인지는 기억조차 하지 못했다고 한다.

따라서 후에 재실험한 스핏츠의 실험에서 피그말리온 효과는 극히 일부만 인정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육 종사자 입장에서의 소양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학습자 입장에서는 스스로 공부를 해나가는 입장이기 때문에 부족한 면도 있는 것으로 보였다.

 

사례

사례 1. 2차 세계대전 당시 한 헝가리 부대가 알프스산맥에서 길을 자칫하면 추위와 폭설로 인해 큰 위험에 빠질 위기였다.

그때 마침 한 병사가 지도를 발견하여 무사히 알프스를 빠져나올 수 있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이 지도는 피레네산맥의 지도였다.

전혀 다른 지도였지만 그 지도 하나가 병사들에게는 희망을 불어넣어 줘 병사들의 힘으로 탈출하게 도와준 것이다.

 

사례 2. 세계적인 제조기업의 GE의 전 회장인 잭 웰치는 어린 시절에 말을 심하게 더듬어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자주 받곤 했다.

하지만 그의 어머니는 그에게 다그치기는커녕 오히려 늘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그의 어머니는 잭 웰치에게 네가 말을 더듬는 이유는 생각의 속도가 너무 빨라서야. 그 속도를 입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니 너무 걱정할 필요 없어. 너는 나중에 훌륭한 사람이 될 거야.

이 말에 입증하듯 그는 크게 성공하였다.

 

사례 3. 초등학생 때 양파 키우기를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3개의 양파가 있는데, 한 양파는 매일매일 좋은 말 즉 칭찬만 해주었으며, 한 양파는 매일 나쁜 말만 들려주었다. 그리고 나머지 남은 양파는 아무런 것도 하지 않았다.

두 달간 이와 같은 행동을 반복했으며 세 양파는 놀랍도록 다른 형태로 자라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달 동안 칭찬만 들은 양파는 세 양파 중에 가장 잘 자랐고, 아무것도 하지 않은 양파는 보통으로 자랐으며, 나쁜 말만 들은 양파는 두 달을 채우지 못한 채 뿌리가 썩어 제대로 자라지 못했다. 사람뿐만 아니라 식물에서도 비슷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는 피그말리온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효과이다.

플라시보 효과는 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사실은 치료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약을 투여함으로써 이제 환자가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 형상을 말한다.

새로 개입한 것에 대해 병이 나을 것이라는 환자의 기대 혹은 믿음에서 나타난다.

이와 반대되는 효과로는 노시브 효과가 있다.

노시브 효과는 아무리 환자에게 도움을 주고 좋은 약이더라도 환자 본인이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병이 낫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면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피그말리온 효과와 플라시보 효과는 둘 다 개인의 생각이나 믿음이 결과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이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피그말리온 효과는 타인에 대한 기대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지만, 플라시보 효과는 자기 자신에 대한 기대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낸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심리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착 장애  (0) 2024.11.29
사랑의 삼각형 이론  (1) 2024.11.28
깨진 유리창 이론  (2) 2024.11.25
인지 부조화  (3) 2024.11.22
방어기제  (5) 202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