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인생에서 살다 보면 꼭 빠지지 않는 것이 사랑이지 않을까 싶다.
그렇기에 누구나 한 번쯤은 사랑은 무엇일까 생각해 보곤 한다.
스턴버그는 이러한 사랑을 세 가지 구성요소로 나누어 보다 깊게 연구한 바 있다.
스턴버그가 말하는 사랑 이론은 무엇인지 함께 봐보도록 하자.
사랑의 삼각형 이론
낭만적 사랑은 인간관계 경험 중에 매우 오묘한 관계 경험이다.
두 남녀의 성격과 연인관계의 깊이 정도에 따라 여러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그 심리적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사랑을 신비롭게 느끼게 되고 때로는 감정이 사랑에만 빠져 다른 일에는 집중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인간 지능에 대해 연구하는 연구자인 심리학자 로버트 스터버그는 이 사랑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한 번 이상의 사랑을 경험해 본 여러 연령층의 사람들을 모집하여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사랑의 삼각형 이론을 발표했다.
스턴버그는 낭만적 사랑을 세 가지 구성요소로 나누었다.
친밀감, 열정, 헌신 이 세 가지는 각각 한 변을 이루는 삼각형과 같다고 표현하였다.
사랑의 첫 번째 구성요소는 친밀감이다.
친밀감은 상대방을 나와 가깝고 편안한 존재로 인식하는 심리적 상태이다.
친밀하의 행동 특성으로는 가깝기 때문에 서로를 잘 이해하며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고 긍정적인 지지를 하며, 본인의 소유물을 공유하는 행동 특성을 가진다.
친밀함은 사랑에서 따뜻한 측면을 나타낸다.
사랑이 때때로 따뜻하고 포근하게 느껴진다면 바로 이 친밀함 때문이다.
친밀함은 만남의 횟수와 연애하는 기간에 비례하여 서서히 증가하는 특성을 가졌으나 어느 정도 일정 수준 이상에 다다르면 친밀감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서로 친밀하다는 것조차 인식되지 않는 수준에 이른다.
낭만적 사랑에만 존재하는 두 번째 요소는 열정이다.
열정을 사랑에서 뜨거운 측면을 나타낸다.
이는 연인들을 신체적으로 흥분시켜 달아오르게 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항상 함께하고 자 하는 강한 집착과 성적인 욕망을 일으킨다.
이는 우정에는 없는 오로지 낭만적 사랑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요소이다.
친밀감은 오랜 시간을 거쳐야만 발전하는 반면에 열정을 급속하게 발전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상대방을 처음 만난 순간부터 강한 열정을 느끼는 경우도 흔하다.
하지만 슬프게도 열정은 오랜 기간 지속되니 않는 특성이 있다.
그렇기에 연인들은 교제 기간이 길어질수록 열정의 강도는 약화하나 친밀의 정도는 높아져 다른 형태의 사랑으로 변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사랑의 세 번째 요소는 헌신이다.
헌신은 상대방을 지속해서 사랑하겠다는 다짐과 행동을 뜻한다.
헌신은 사랑의 관계에 자신을 던져버리는 의지적 결정이자 책임 의식을 가진 사랑의 차가운 측면을 나타낸다.
낭만적 사랑에서 가장 대표적인 헌신 행동은 결혼이다.
조지 무어는 결혼을 단 한 사람을 사랑하기 위해 다른 많은 사람과의 사랑을 단념하는 행위라고 하기도 하였다.
헌신은 사랑하는 사람과 지속해서 긍정적인 관계를 이뤄나가기 위해 자기 자신을 구속하는 행위로 결혼과 같은 사랑의 약속과 맹세, 사랑의 징표나 선물 교환, 자신의 지인들에게 애인 소개하기, 고통스럽고 힘든 일도 연인과 함께 이겨나가기 등을 포함하는 행위이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재미있는 점은 다양한 연인들의 관계에 따라 삼각형의 크기와 모양을 다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각형이 세 변의 길이에 따라 예각, 직각, 둔각 삼각형으로 모양과 크기가 달라지는 것처럼, 사랑 또한 세 가지 구성요소의 속성과 비율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양상을 띠게 된다.
두 사람의 관계를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보면 사랑에 대한 기하학적인 분석이 가능해진다.
스턴버그는 친밀감, 열정, 헌신 이 세 가지 구성요소를 충분하게 그리고 고르게 가진 정삼각형의 형태가 가장 온전한 모양의 사랑이라 하였다.
그 이유는 삼각형의 면적은 사랑의 크기를 나타내고, 정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동일할 경우 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삼각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연인들이 세 가지 사랑 요소를 동일하고 균일하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여행을 떠나 짧은 여행 기간에 만난 이성과 잠깐의 교제를 하며 강렬한 열정을 피워나가고 커플링을 교환하거나 사랑의 맹세를 하곤 한다.
심지어는 상대방에 대한 깊은 이해와 친밀감 쌓이기 전에 빠른 시일 내에 약혼과 결혼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친밀함 없이 열정과 헌신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사랑인 것이다.
스턴버그는 이를 허구적 사랑이라고 칭하였다,
혹은 깊은 친밀함과 뜨거운 열정이 없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재산이나 사회적 지위만을 보고 결혼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결혼이라는 헌신은 있지만 친밀함과 열정이 부족한 사랑을 보고 공허한 사랑이라고 한다.
이런 경우 말고도 오랜 결혼 생활 끝에 열정은 식고 오랜 기간 동안 같이 지내며 쌓인 실망과 갈등으로 인해 친밀감은 사라졌지만 자녀가 있어서 형식적으로 부부관계를 이어나가고 있는 경우도 공허한 사랑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사랑의 유형은 이러한 것 말고도 친밀함과 헌신만으로 이루어진 우애적 사랑이 있다.
우애적 사랑은 비록 열정은 식었을지라도 헌신을 잘 유지하며 친구처럼 지내는 관계를 뜻한다.
이를 통해 우리 연인은 혹은 우리 부부는 어떤 사랑을 나누고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
스턴버그가 사랑의 세 가지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45가지 문항의 척도를 개발한 바 있으니 찾아서 측정해 보는 것 또한 뜻깊은 시간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