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O_jsokH06wQO7Uv4dtx69fzS0A5qff8H0Lkbc3kXWKs 나르시시즘
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의 이해

나르시시즘

by manchea 2024. 12. 7.

나르시시즘이란 무엇이며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가 생기게 된 유래를 보고, 이러한 나르시시즘의 특징은 무엇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다.

나르시시즘 또는 자기애

나르시시즘 또는 자기애는 정신분석학적 용어로, 자기 외모나 능력 같은 다양한 이유에 자신이 지나치게 남들보다 뛰어나다고 느끼거나 자신을 사랑하는 자기중심적 성격을 말한다.
자만심과도 유사하며, 리비도가 자기 자신을 향해 분출되는 사랑으로 이는 청소년기에 주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거쳐 가는 하나의 과정이지만 이후 지나가게 되고 다시 실현되기도 한다.
정신분석학적으로는 이를 보통 인격장애 증상으로 간주한다.
본인의 신체에 성적 흥분을 느끼거나 자신을 완벽한 사람으로 간주하며 이 속에서 자기만족을 느낀다. 
나르시시즘의 유래는 물에 비친 자기 모습에 반해서 물에 빠져 죽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키소스의 이름을 따서 독일의 니케가 만든 용어이다.

정의
정신분석에 의하면 우리는 유아기에 본능이나 관심이 본인에게 쏠려 있다, 경우에 따라 청소년기까지 자신에게 관심이 쏠려 있곤 한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상태를 일차적 나르시시즘이라 칭하였다. 
하지만 우리는 나이를 먹으며 이러한 본능이나 관심, 애정이 자기 자신에서 부모님이나 형제, 자매, 다른 이성으로 점차 확대된다.
이때,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쏟았던 애정이 더 이상 쏟기 어려워지거나 배신, 비난, 결별 등의 부정적인 상황 등에 여러 번 노출되어 타인에게 사랑을 줄 수 없게 되었을 때 이들은 유아기나 청소년기에 그랬듯이 자기 자신을 사랑하게 된다.

나르시시즘은 자신이 생각한 이상향의 이미지나 속성에 대한 허영심이나 이기적인 찬양으로부터 만족을 느끼는 것이다.
이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서 나르치스라는 청년이 물웅덩이에 비친 자기 모습에 반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나르시시즘 혹은 병적인 자기 흡수는 1898년 해브록 엘리스로 인해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이후 프로이트로 인해 나르시시즘이 등장하였다.
미국의 정신의학회는 1968년부터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에 나르시시즘 성격 장애 분류를 나열하였고, 이는 과대망상증의 역사적인 개념을 다루고 있다.

나르시시즘은 자아 중심주의 혹은 이기주의와 자신에 대해 책임지고 보살피는 건강한 형태 즉, 일차적 자아도취와는 다르게 구별된다.
나르시시즘은 자신과 타인 사이에서 기능적 문화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문제이다.
 
역사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는 나르키소스에 대한 그리스 신화로부터 유래되었다.
오비드에 따르면 님프 에코와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나르치스는 물웅동이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고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사랑을 이루지 못한 나르치스는 시간마다 수영장에서 넋을 놓고 누워있어서 결국 자신의 이름을 새긴 꽃으로 변하게 되었다.
지나친 이기주의의 개념은 역사를 통해 인식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나르시시즘이 자만심으로 정의되었는데 이것이 심리적 용어로 자리잡히게 된 것은 1800년대 후반부터이다.

1752년 장 자크 루소의 연극 나르시스가 파리에서 공연되었다.
1898년 영국의 심리학자 해브록 엘리스는 과한 자위행위를 언급하며 나르시소스 유사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자신이 성적 대상이 된다.
1899년에 폴 니케는 성적 변화를 연구할 때,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1911년에 오토 랭크는 나르시시즘과 관련하여 정신분석 논문을 처음으로 발표하였다.
이는 허영심과 자기 감탄에 연결 지었다.
프로이트는 1914년에 나르시시즘에 대해 소개하였다.
1923년 마틴 버버는 에세이를 출간함으로써, 우리의 나르시시즘은 우리를 동등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다른 대상과 관련되게 만든다고 언급하였다.
 
특징
알렉산더 노웬의 관점
자기 자신을 남과 비교하였을 때, 남보다 잘나거나 잘하는 것이 있으면 극도로 자신에 대한 고시와 자기에 대한 긍지가 넘쳐난다.
그러나 남보다 열등하거나 뒤떨어지는 점이 있으면 지나치게 우울해지거나 자기 비하에 빠진다.
그렇기에 협동이나 팀워크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타인의 상황이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자기중심적으로 세상을 관찰하기 때문에, 타인을 자기 입맛대로 판단하는 모습을 보인다.

인격 변수로서의 자아도취 4차원
1. 지도력과 권위
2. 우월성과 오만성
3. 자기 흡수와 자아 감탄
4. 착취와 유능성

거창한 나르시시즘과 취약한 나르시시즘
취약한 자아도취는 방어적이고 연약한 모습을 반영하는데 이것은 주로 충분하지 않은 감정을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과민성, 방어성, 금단성을 특징으로 두는 취약한 자아도취는 BPD와 긴밀하게 연관되는데 
BPD는 포기, 대인관계 및 정서 불안, 충동성, 만성적인 공허감, 자살 관념, 자기 변질을 특징으로 둔다.

병적 나르시시즘은 거창하고 취약한 나르시시즘이 함께 나타난다. 이는 낮은 자존감과 공감 능력 부족, 수치심, 대인관계의 괴로움, 공격성, 임상 및 비임상적 샘플과 같이 성격의 중요한 손상과 관련이 있다.
병리학적 자아도취 목록에 의해 측정된 병리학적 자아도취는 반사회적, 경계선적, 자아도취적 인격장애를 내포하는 경계선에서 조직된 인격장애에 포함되어 있다. 
병리학적 자아도취 목록 척도는 자살 행위, 자살 시도, 살인 착상 및 심리치료 활용과 같은 측면에서 중요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취약한 자아도취증과 거창한 자아도취증은 현상학적, 그리고 경험적 구별에도 거창한 자아도취증 또한 취약함을 가지고 있다.

'심리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레기통 모형  (1) 2024.12.12
낙인이론  (6) 2024.12.07
고슴도치 딜레마  (1) 2024.12.04
분노의 5단계  (4) 2024.12.04
콤플렉스  (0) 202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