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O_jsokH06wQO7Uv4dtx69fzS0A5qff8H0Lkbc3kXWKs 콤플렉스
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의 이해

콤플렉스

by manchea 2024. 12. 2.

콤플렉스라 하면 흔히들 단점이라고 생각하기 십상인데, 심리학적으로 보는 콤플렉스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콤플렉스

콤플렉스의 정의
콤플렉스는 정신분석학적인 개념으로 사람의 마음속에서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 힘의 존재를 뜻한다.
이는 감정 복합이며, 필링 톤드 콤플렉스라고도 부르지만 외래어 표기법상 콤플렉스라고 표기한다.

사람은 누구나 약하거나 강하거나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콤플렉스의 적용 범위는 공통의 가치관이 서로 널리 쓰이는 범위에 따라 각 개인의 콤플렉스에서 멈추지 않고 더 나아가 집단 콤플렉스, 사회의 콤플렉스로 넓혀지기도 한다.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콤플렉스를 예시로 들면 남자다움을 강요하는 사회나 여자다움을 강요하는 사회와 같은 것이 있다.

콤플렉스는 사회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왜곡하여 바라보게 하며, 그 강도에 따라 상황을 더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보기 힘들게 만든다. 따라서 이는 생각과 감정,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안 좋은 영향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콤플렉스는 때로 삶의 에너지원이 되기도 한다.
이 의미로서의 콤플렉스는 프로이트파, 아들러파, 융파 등 심층심리학 제하파의 사이에만 쓰이는 개념이며 심리학이나 정신의학 세계에서는 포용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개념은 아니다.

개요
콤플렉스라는 말은 최초로 들여온 사람은 요제후 브로이아이다.
하지만 이 말을 보편적으로 쓰이게 한 자는 융이다. 융이 정의 내리는 콤플렉스란, 얻더한 감정에 의해서 모이게 된 심리적인 내용의 모임이다. 원래의 상황과 본래 무관계한 감정이 생긴 상태이며, 이것을 ‘심리적 복합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일찍이 서양의 의학을 도입하였기 때문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또한 심리학적, 정신의학상의 학설로 들여왔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중심적인 내용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원래 서양인의 의식과 무의식의 동역한 이론이기도 한 정신분석은 일본인의 심리에는 그다지 적합한 학문이 아니었다.
이 전후로 미국의 알프레드 아들러의 인격심리학이 일본에 유입되었다.
아들러의 이론은 ‘열등 복합’이라는 것을 이론의 중심에 두고 있었는데 이 열등 복합의 극복을 통해 인격의 성장이 성립한다는 이 이론은 일본인에게 친밀감 있게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프로이트의 이론보다 아들러의 이론을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서 아들러 이론의 중심 개념인 ‘열등 복합’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열등 복합’은 원래 ‘열등 콤플렉스’이지만, 일본에서 아들러의 이론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이후 콤플렉스 중 열등 콤플렉스가 특히 중점적으로 유포되어 콤플렉스 하면 ‘열등 복합’을 가리키는 일상의 용어법이 되었다.
더불어 일본에서는 현재 콤플렉스라고 하면 암묵적으로 열등 콤플렉스를 가리키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는 정신분석의 용어에서 점점 거리감이 생기고 콤플렉스를 열등감이라는 의미로서 동의어로 사용하는 잘못된 접근도 생겨났다.

분석심리학적으로 페티시즘은 콤플렉스와 거의 동의어이다. 따라서 페티시즘의 분야에서도 콤플렉스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것은 심리학적 용어는 아니고 속어이지만, 개념적으로 잘못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정확하게는 ‘있는 페티시즘으로부터 상기되는 콤플렉스’를 의미하는 것이다.

종류
1. 파더 콤플렉스 (파더콘) - 아이가 아빠에게 비정상적일 정도로 가지는 애착
2. 마더 콤플렉스 (마더콘) - 아이가 엄마에게 비정상적일 정도로 가지는 애착
3. 엘렉트라 콤플렉스 - 딸의 엄마에 대한 대항심
4.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아들의 아빠에 대한 대항심
5. 열등감 콤플렉스 - 자신이 남보다 못하거나 부족하다는 생각에서 오는 느낌
6. 착한 아이 콤플렉스 - 어린이가 착한 아이가 되기 위해 욕구를 억압하는 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것
7. 아도세 콤플렉스 - 엄마와 아이의 심리 갈등
8. 아그립피나 콤플렉스 - 엄마의 밀착에 대한 아들의 혐오
9. 브라더 콤플렉스 (브라콘) - 형제에 대한 애착
10. 시스터 콤플렉스 (시스콘) - 자매에 대한 애착
11. 카인 콤플렉스 – 형제, 자매 사이의 부모 사랑을 둘러싼 갈등
12. 로리타 콤플렉스 (로리콘) - 소녀에 대한 애착(특히 12~15세를 가리키는 경우도)
13. 아브라함 콤플렉스 - 부친의 아들에 대한 증오
14. 신데렐라 콤플렉스 - 여성의 높은 남성 지향
15. 백설 공주 콤플렉스 - 피학대아 증후군 및 엄마의 딸에 대한 증오
16. 쇼타로 콤플렉스 (쇼타콘) - 소년에 대한 애착
17. 2차원 콤플렉스 -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2차원 캐릭터에 대한 애착
18. 메시아 콤플렉스 - 강박적으로 사람을 원조하는 심리
19. 유디트 콤플렉스 - 강한 남자에게 몸을 맡기고 싶은 감정과 상대에 대한 미움이 겹친 여성의 이중 심리
20. 디아나 콤플렉스 - 남성에게는 지고 싶지 않다는 여성 심리
21. 카멜리아 콤플렉스 - 불행한 여성을 구하려는 남성의 심리
22. 스페크타큐라 콤플렉스 - 성기호가 행동을 규율하는 심리
23. 피그말리온 콤플렉스 - 인형에 대한 애착
24. 오레스테스 콤플렉스 - 아빠의 규칙과 엄마의 주박 안에서 마음이 찢어지는 심리
25. 다프네 콤플렉스 - 처녀의 남성 혐오
26. 프랑켄슈타인 콤플렉스 - 인공 존재를 창조하는 욕망과 그 대상에 대한 공포
27. 신 콤플렉스 - 개인의 능력, 권한 또는 무과실성의 지속적 팽창 감정
28. 검정 고무신 콤플렉스

'심리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슴도치 딜레마  (1) 2024.12.04
분노의 5단계  (4) 2024.12.04
군중 심리학  (3) 2024.12.01
애착 장애  (0) 2024.11.29
사랑의 삼각형 이론  (1) 2024.11.28